|
||
|
에디터 : 바이크매거진
|
|
산악자전거 대회 우승경력도 화려했던 선수시절 |
- 자전거를 타게된 동기가 무엇입니까?
어릴적부터 자전거를 즐겨 탔고 중학교 3학년 때 강남역 근처에서 우연히 산악자전거 국가대표 선수 출신이신 권영학 선배를 만나게 되어 산악자전거 선수에 입문하게 되었습니다.
- 기억에 남는 라이딩이 있다면?
산악자전거를 타기 시작하면서 가슴 깊이 남은 시합이 있습니다. 바로 1997년 산악자전거 세계선수권대회(스위스)입니다.
산악자전거 크로스컨트리 국가대표로 발탁되어 참가하게 된 가장 큰 시합이었습니다. 세계 유명 프로선수들이 모두 참석한 대회였습니다. 함께 했던 선수들은 권영학, 정형래, 박성재, 주대영, 도종구, 조경호, 장준원, 신봉철이었습니다.
등수는 제 기억으로 75위인 것 같네요. 그때는 참가하는 것만으로도 영광이라 생각했던 시기라 등위는 하위권이지만 완주할 수 있어서 기뻤던 것 같네요. 제 생애 최고의 시합이었으며 최고의 코스와 시설이었습니다.
|
미국에서 스카이다이빙을 배웠다(가장 왼쪽이 박기환) |
- 추천하고 싶은 코스(또는 지역)가 있다면?
저는 서울에 거주하고 있고 회사가 목동이라서 주로 신월산과 관악산을 많이 타고 있습니다. 개인적으로 임도를 즐겨 타지 않아 주로 싱글트랙 위주의 라이딩 코스를 선호하고 있습니다.
- 자전거 타면 이것 만은 좋더라? 무엇이 있을까요?
건강유지와 스트레스 해소.
건강유지를 위해 특별히 하는 운동은 없고 시간 날 때마다 산악자전거 라이딩을 하고 있으며, 특히 스트레스가 심한 날은 술보단 라이딩을 해야 확실하게 답답한 마음이 확 풀립니다.
|
물에서의 산악자전거와 비교할 수 있는 카약의 매력에 빠졌다. |
- 자전거 외에 다른 취미가 있다면?
당연히 아웃도어 스포츠입니다. 제가 익스트림 스포츠 매니아라서 다양한 종목을 즐기고 있는데, 요즘 취미는 카약킹에 빠져 있습니다. 물위에 산악자전거라 할 수 있죠. 짜릿하고 스릴만점, 아직은 초급이라 스킬이 많이 부족하지만 앞으로 꾸준히 배울 예정입니다.
- 나에게 자전거는 OOO이다.
Moutainbike is My life. 저에게 새로운 인생과 만남을 기회를 만들어 주었습니다.
- 산악자전거 국가대표를 지내고 대학원까지 졸업을 했는데, 그동안 가장 어려웠던 것은 무엇이 있을까요?
특별히 어려웠던 것보다는 군복무를 해야 했기에 운동 선수로서의 은퇴를 결심하고 3년간의 특전사에서 근무했던 시기가 가장 힘들었던 것 같네요. 바빠서 자전거를 탈 시간적 여유가 없었으니까요.
|
스쿠버 다이빙 마스터 자격증도 취득 |
- 현 산악자전거 엘리트 선수들과도 친분이 많은 것으로 아는데, 어떤 형식으로 관계를 지속하고 있나요?
솔직히 지금 엘리트 선수들 중에 모르는 사람들도 많이 있습니다만, 은퇴를 한 이후에도 후배 엘리트 선수들과 개인적으로 연락하고 지속적으로 만남을 유지해서 지금까지도 국가대표 출신 선수들과 자주 만나고 있고 지금 일하고 있는 세븐스크로스에서도 산악자전거 선수 출신 후배들과 함께 일을 하고 있습니다.
- 현재 하고 있는 일에 대한 소개 부탁합니다.
제가 근무하는 회사는 아웃도어 스포츠 매니지먼트 회사로 다양한 아웃도어 스포츠를 배우고 즐기고자 하는 고객님께 멤버쉽을 통해 교육, 투어, 행사 등의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.
요즘은 MTB 교육 및 행사, 컨설팅 등의 일을 진행하고 있습니다.
- 현재 일을 하면서 느끼는 장단점을 얘기해 주세요.
우선 단점부터 말씀드리자면 주말이 없다는 겁니다. 주말이 바쁜 직업이니까요.
장점은 남들은 취미로 할 수 있는 스포츠 활동을 직업으로 할 수 있다는 겁니다. 제가 좋아하는 스포츠를 하면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최대의 장점입니다.
|
단체 교육 등을 통해 산악자전거 꿈나무를 키우는 일은 참 보람차다. |
- 일을 시작하면서 다른 많은 스포츠들도 접해보셨는데, 어떤 것들을 얼마나 배웠는지요?
1. 스쿠버 다이빙 마스터 자격증을 취득했고 다이빙 횟수는 약 130회 정도 됩니다.
2. 수상인명 구조원(라이프 가드)입니다. 제가 취득한 자격증 중 가장 힘들게 얻은 뜻 깊고 자랑스러운 자격증입니다. 물이라면 어디라도 좋습니다.
3. 급류카약은 잘하지는 못하지만 빠져 죽지 않을 정도의 초급 실력을 갖추고 있습니다. 참고로 배가 뒤집어 졌을 때 다시 오뚜기처럼 물위로 올라오는 에스키모 롤 기술도 구사할 수 있습니다.
4. 스키는 패트롤 자격증을 가지고 있습니다. 자세는 별로지만 타고 내려오는 것엔 문제가 없을 정도는 됩니다. 스노보드는 알파인보드를 타며 중상급 실력정도 됩니다.
5. 스카이 다이빙은 군대에서 조금 했고 살아서 지상으로 착지하는 정도??^^
6. 서핑은 롱보드로 서핑이 가능하며 실력은 초보입니다. 미국에서 1주일 배웠습니다.
7. 스포츠 클라이밍과 등산은 특전사 근무할 때 배웠으며 실력은 초중급 정도입니다.
- 다른 스포츠들에 비해 자전거가 더 좋은 부분이 있다면?
전천후 스포츠로서 언제 어디서나 탈 수 있다는 부분이 가장 큰 매력인 것 같습니다.
혼자타면 혼자라서 좋고 그룹 라이딩을 하면 함께 즐길 수 있어 좋고 날씨, 계절,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남녀노소 누구나 할 수 있는 전 국민 스포츠인 것 같습니다.
|
스키와 스노보드도 겨울에는 많이 즐긴다. 스키 패트롤 자격증 소지. |
- 후배 선수들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면 ?
꿈을 포기하기 않았으면 좋겠습니다. 운동선수로 산다는게 쉬운 일이 아니다 보니, 특히 대한민국 남자라면 군대를 다녀와야 하기에 군입대가 선수 은퇴가 되는 경우가 너무 많은 것 같습니다. 저도 물론 군입대와 동시에 선수의 길을 접어야 했지만...
군입대로 인해 자전거와 동떨어진 다른 삶을 살아가는 우리 산악자전거 인이 적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. 저의 꿈은 평생 자전거와 함께 하는 삶을 살아가는 것이었습니다. 지금은 선수로서 자전거를 타는 건 아니지만 산악자전거 강사로서 자전거와 함께 하는 길을 다시 달리고 있습니다.
산악자전거를 사랑하고 자전거를 평생의 동반자라 여기는 후배님들에게 항상 자전거와 함께 꿈꿔온 미래를 포기하지 않길 간절히 바랍니다.
|
지금은 산악자전거 교육자로 자전거를 탄다. |
- 바이크매거진 창간 첫 인물로 소개되었는데, 바이크매거진에 한마디.
창간호에 실릴 만큼 영향력이 있거나 유명한 사람이 아닌데, 자전거를 사랑하는 마음을 높이 사셔서 첫 인물로 뽑아주신 것 같습니다. 대단히 감사합니다.
최근 고유가 시대로 접어들면서 그린 스포츠인 자전거 동호인 수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습니다. 그와 더불어 바이크매거진이 자전거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공유하고 자전거 문화의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는 매개체 역할의 중심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.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